반응형
정적 컨텐츠란?
: 데이터의 변화가 없는 컨텐츠. 즉 말그대로 데이터의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컨텐츠이다.
사실 정적컨텐츠는 앞서 만든 Welcome Page 또한 정적컨텐츠라고 할 수 있다.
src/main/java/resources/static 안에 hello-static.html 파일을 생성한뒤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었다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title>static content</title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
</head>
<body>
정적 컨텐츠 입니다.
</body>
</html>
그다음 서버를 실행시킨뒤에 주소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8080/hello-static.html
그럼 해당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데, 이 페이지는 데이터의 변화가 없기때문에 정적이다 라고 할 수 있다.
이렇게 코딩하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다. 만약 원하는 파일이 있다면 위의 파일경로에 원하는 파일을 추가하면 해당 파일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.
해당작업을 이미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
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받아와서 톰켓 서버를 통해 스프링컨테이너로 건내준다. 하지만 스프링 컨테이너 내에 해당관련 컨트롤러가 없다. 그럼 바로 resources에 static 안에있는 해당파일을 찾는다. 만약 그 파일이 존재하면 반환해주는 형식이다.
위에서 알 수 있는것은 컨트롤러가 우선순위상 먼저 실행된다.
반응형
'Spring Pract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7] Spring 파헤치기 : API (0) | 2022.03.02 |
---|---|
[#6] Spring 파헤치기 : MVC와 템플릿 엔진 (0) | 2022.02.25 |
[#4] Spring 파헤치기 : 빌드하고 실행하기 (0) | 2022.02.24 |
[#3] Spring 파헤치기 : View 환경설정 (0) | 2022.02.24 |
[#2] Spring 파헤치기 :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(0) | 2022.0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