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pring Practice

[#4] Spring 파헤치기 : 빌드하고 실행하기

박은유 2022. 2. 24. 20:54
반응형

먼저 빌드를 하기전에 Terminal 설정부터 변경해보자.

 

강의는 맥의 iTerm을 사용하고있는데, 난 윈도우를 사용중이라 Terminal을 변경해줘야한다.

윈도우는 기본적으로 명령프롬프트(cmd)를 사용중인데 이걸 Git으로 변경해서 사용하도록 설정해야한다.

Git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nix계열의 OS에서 쓸 수 있는 명령어인 ssh, scp, cat, find등을 쓸 수 있기때문이다.

설정은 다음링크를 참고하자.

 

링크 : https://violetboralee.medium.com/intellij-idea%EC%99%80-git-bash-%EC%97%B0%EB%8F%99%ED%95%98%EA%B8%B0-63e8216aa7de

 

IntelliJ IDEA와 Git Bash 연동하기

JetBrains 계열의 IDEA와 Git Bash를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
violetboralee.medium.com

 

그럼 Terminal이 git bash로 변경된것을 알 수 있다.

 

그다음 ./gradlew build 를 입력하면 빌드가 된다.

그다음 build 폴더에 들어가서 폴더를 확인하면 libs 폴더가 있는데 그 폴더로 들어간다.

그 안에 해당 hello-spring-0.0.1-SNAPSHOT.jar 파일이 있는데, 이걸 복사한다음

java -jar hello-spring-0.0.1-SNAPSHOT.jar 를 입력하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.

 

* 주의할점 : 만약 서버가 실행되고있다면, 종료한다음 해야 오류가 발생하지않는다. 이미 8080포트로 서버를 실행중이라면 충돌이 나기때문에 꼭 실행중인 서버는 종료하고 위의 과정을 진행하자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