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pring Practice

[#1] Spring 파헤치기 : 프로젝트 환경설정

by 박은유 2022. 2. 23.
반응형

Spring Framework의 고수가 되기위한 첫 여정.

제일 중요한 환경설정부터 시작해보자

 

선행조건

 : Java 11 설치

 : IDE 설치 (InteliiJ or Eclipse)

 

1.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하기

https://start.spring.io/

위 사이트로 접속후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을 한다.

그 다음 Dependencies를 추가

GENERATE 클릭

 

2. IntelliJ IDEA 실행

Open 클릭 -> hello-spring\build.gradle 클릭 후 실행

 

4. build.gradle 확인

버전 설정과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위한 환경을 확인

그 외 gradle파일은 나중에 확인

 

5. 프로젝트 실행

메인프로젝트 옆에 실행버튼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실행되어야하는데 아래와같은 오류가 뜬다.

Error: java: invalid source release: 11

위 오류는 전에 Eclipse에서 작업할 때 Java 버젼설정이 1.8로 되어있기때문에 11로 바꿔주어야한다.

 

 : File - Project Structure - Project - SDK - Edit - 설치한 Java 11 파일 선택

 

그 후에 다시 실행하면

이와같은 모습으로 잘 실행이 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!

 

6. localhost:8080 접속

웹브라우저에 localhost:8080으로 접속시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.

이건 기존에 8080 포트번호를 사용하고있기때문에 충돌이 나기때문에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죽여야한다.

 

 : cmd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-> 명령창에 netstat - ao 입력 -> 8080포트번호 사용중인 PID 확인 -> taskkill /f /pid [해당PID] 입력 -> cmd 종료

 

위의 과정을 거친후 다시 localhost:8080 을 실행하면

성공적으로 실행이 된다.

 

7. 실행환경설정

IntelliJ로 Java를 실행시 바로 실행하는게 아니라 Gradle을 통해 실행될때가 있는데 이 경우에 속도가 많이 저하될 수 있다. 바로 IntelliJ로 실행할 수 있게 변경해보자.

 

 : Setting -> gradle 검색 -> Build Tools 아래에 있는 Gradle 선택 -> Butil and run using, Run tests using을 IntelliJ IDEA로 변경

 

 

*위 글은 김영한강사님의 [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] 강의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.

반응형